스마트폰 고속 충전과 무선충전 꼭 알아야 할 사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찾는것이 더 어려울 정도로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배터리 분리형 스마트폰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배터리 일체형인 스마트폰이 더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량이 점점 더 늘어가면서 더 효율적인 충전 방법과 고용량 배터리에 대한 연구도 계속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두가지 방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먼저 빠르게 완충시키는 고속 충전입니다.
고속충전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
전력은 접압과 전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압과 전류가 높아지면 전력도 당연히 높아집니다.
예전의 충전기는 대부분 5V/1A의 규격으로 5W의 전력을 가졌지만, 고속 충전기는 전압이나 전류를 높여
9~20W의 전력을 뽑아 낼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전자 기기를 충전하려면 4~5시간을 충전해서 겨우 7~8시간을 사용할수 있었죠.
잠들기 전 휴대폰 충전을 깜빡하면 충전선을 들고 다니면서 충전해야하는 고충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배터리의 용량이 점점 커지면서 더 이상 옛날 방식으로 충전하기가 힘들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고속 충전기가 개발되면서 기존의 충전기보다 전력을 4배 높여 충전속도를 빠르게 할수 있었죠.
하지만 고속 충전기를 사용한다고해서 모든 전자 기기가 빠르게 충전되는건 아닙니다.
내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가 고속 충전 되는 모델인지 확인하고 난 후 고속 충전기를 사용해야하는데, 고속 충전이 되지않는 전자기기에 고속 충전기를 사용하면 전류가 지나치게 흘러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 진다고 하니 배터리의 허용 전력량을 반드시 체크해야 겠습니다.
두번째는 선이 없이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입니다.
무선충전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나눌수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무선 충신은 자기 유도방식입니다.
유도 방식은 충전기 속의 코일 안에서 만들어진 자기장이 전자 기기의 배터리속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흘러보내 전자기기를 충전 합니다.
이때 전류가 흐르려면 전자 기기가 충전기에 아주 가까이에 있어야 충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전자기기가 무선 충전이 되는건 아니죠.
전자기기의 배터리 안에 유도 전류를 만드는 코일이 있어야만 무선 충전을 할수 있으니 무선 충전기를 구매하기 전에 무선 충전 가능한 모델인지 꼭 확인해야 겠습니다.
무선 충전 ,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무선 충전기는 전선을 사용 하지 않고 전자 기기의 충전 단자가 직접 접촉 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로 인한 각종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할것 같지만, 때때로 화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충전을 할떄 열이 발생하는데, 평소에는 괜찮지만 전자 기기와 충전기 사이에 금속 물질이 있을때는 금속 물질이 열을 받아 뜨겁게 달아오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무선 충전을 할때는 금속으로 된 스마트 링이나 케이스를 꼭 제거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자파가 발생합니다. 전자파 노출이 걱정 된다면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꺼 두는게 좋겠죠?
전자 기기를 충전할때는 기기가 전자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충전기 위에 아무런 기기가 없을 때 에는 전자파에 그대로 노출 되니까 조심하는 편이 좋겠습니다 .
'생활의 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운 겨울 면역력을 키워주는 필수 상식 (0) | 2021.01.31 |
---|---|
고속도로 과속 단속에 대한 모든 것 (0) | 2021.01.31 |
쉽게 이해하는 플렉시블(flexible)제품의 원리 (0) | 2021.01.30 |
꼭 알아야 할 건강하게 식욕을 조절하는 1분 과학 상식 (0) | 2021.01.30 |
가짜 식욕에 관한 1분 과학 상식 (0) | 2021.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