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수면과 뇌의 상관관계
OECD국가 중 한국 사람들의 수면 시간이 가장 적은것으로 조사 된 가운데,
세계 20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성인의 65퍼센트가 만성적인 수면 부족을 호소했다고하고,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8명중 1명이 불면증으로 치료 받고 있다고 합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비만, 고혈압,심혈관 질환, 관상 동맥 질환, 면역 감소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 질수있는 위험이 크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 시간이 1시간 줄어들 경우 비만이 될 확률은 20퍼센트가 증가하고 ,
잠을 깊게 못 자는 사람들은 고혈압 발병 가능성이 80퍼센트가 높아진다고 하니,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심장 질환의 위험성은 말안해도 당연하겠지요.
또한 잠을 7시간보다 더 적게 자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감기에 걸릴 확률도 세배 이상 높고, 백신을 맞아도 효과가 낮다고 하네요. 바로 수면이 면역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5시간 미만 수면을 취하는 사람들은 감기 외에도 중이염, 폐렴등에 걸리는 비율이 충분하게 잠을 자는 사람에 비해 80퍼센트이상 높았다고 하니 코로나 예방을 위해서도 충분한 수면이 필수 인듯 합니다.
특히 한국은 오래전부터 대학입시에 삼당사락 세시간자면 합격, 네시간자면 불합격이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올 정도로,
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잠 잘 시간을 아껴 공부하고, 잠 잘 시간을 아껴 일하는 부지런한 민족입니다.
하지만 최근의 많은 연구들에서 밝혀진 것 처럼 잠을 충분히 , 잘 자는것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 요소입니다.
수면은 신체를 회복시켜주고, 에너지를 저장해주며 멜라토닌이나 성장 호르몬등을 분비시켜주고, 기억 저장 등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면 피로함을 느끼는것은 물론, 주의력도 감소하고 우울한 감정이 생길수 있습니다.
보통 성인의 수면 권장 시간은 7-8시간인데, 사실 이 수면 시간보다 더 중요한것은 램수면 즉 깊은 수면이라고 합니다.
최소 1시간 30분-2시간 이상의 깊은 수면 시간을 확보해야만 하는데, 깊고 충분한 수면은 낮에 경험했거나 학습한 내용을 장기 기억으로 보관해주고, 불쾌한 감정이나 불안한 감정을 없애주고 스트레스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미국의 로체스터 대학교의 연구팀이 치매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실험쥐의 뇌에 주입하고 수면과 각성 동안에 일어나는 이 단백질의 이동을 비교했더니, 수면 동안에 노폐물의 제거가 10배이상 더 활성화 되었고, 잠든 뇌가 훨신 더 많은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리가 충분하고 깊은 잠을 잘때 신경활동의 부산물이 깨어있는 동안 축적되었다가 수면시간동안 깨끗하게 청소되기 때문에 잠은 회복에 필수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면 어떻게 잠을 "잘"잘수 있을까요?
잠을 잘 자려면 규칙적인 수면이 꼭 필요한데요, 일찍 잠자리에 들거나 수면제를 복용하고 잠을 기다리기보다는, 원래 자던시간에 눕는 것이 가장 좋다고하고.
수면에 방해되는 음식들을 피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술이 있는데, 술을 마시면 단기적으로 잠을 잘 자게 해주지만, 깊은 수면을 방해하고 또 나중에는 오히려 술을 안마시면 잠을 못하게되어 수면제 오남용과 비슷한 효과로 불면증을 장기화 시킬수도 있습니다.
또 지나친 흡연이나, 카페인도 불면증을 악화 시킬수 있습니다. 오후나 저녁에는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수면 꼭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것도 좋겠습니다.
특히 핸드폰이나 태블릿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수면에 방해가 된다고하니, 잠자기 직전에는 사용하지 않는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생활의 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과학 : 미나리의 모든 것 (0) | 2021.05.04 |
---|---|
아이를 위한 자기주도적 독서법 (0) | 2021.02.17 |
폭식증을 치유하는 식재료 (0) | 2021.02.13 |
딸기에 관한 모든 것 A-Z (0) | 2021.02.13 |
친환경 재생 에너지에 관한 짧은 상식 (0) | 2021.02.11 |
댓글